야구 스포츠토토의 꽃, 메이저리그 (MLB) 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기


본문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의 역사와 현재
MLB의 탄생과 발전 과정
토토사이트의 야구토토 인기종목인 MLB의 기원은 19세기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1869년 세계 최조 프로야구 팀 신시내티 레드 스타킹스가 창단되었고 이후 여러 팀이 결성되면서 프로 야구 리그의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1. 내셔널 리그(NL)와 아메리칸 리그(AL)의 탄생
- 내셔널 리그 창설 (1876년)
1876년 미국에서 본격적인 프로 야구 리그가 출범하게 되었고 오늘날 MLB의 한 축을 담당하는 내셔널 리그는 시카고 컵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의 팀이 참가하면서 점점 규모를 키웠습니다.
- 아메리칸 리그 창설 (1901년)
내셔널 리그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자 1901년 또 다른 프로 리그인 아메리칸 리그가 창설되었고 내셔널 리그보다 더 공격적인 경기 스타일을 내세우며 빠르게 성장하여 두 리그간의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2. 월드시리즈(World Series)의 탄생
1903년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이 맞붙는 월드시리즈가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당시 실험적인 성격이 강한 대회였지만 팬들의 큰 관심을 받으며 MLB최고의 이벤트로 자리 잡았고 현재에도 MLB는 매년 가을, 월드시리즈를 통하여 최강 팀을 가리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MLB의 황금기와 글로벌 확장
- 베이브 루스 시대 (1920~1930년대)
1920년대부터 1930년대 까지는 베이브 루스 시대라고 불리며 홈런 중심의 파워 야구를 대중화 하여 MLB의 인기를 폭발적으로 끌어올리게 되었고 특히 뉴욕 양키스가 활약하면서 월드시리즈 우승을 여러 차례 이끌어 명문 구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 재키 로빈슨과 인종 차별 철폐 (1947년)
1947년 재키 로빈슨이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하면서 흑인 선수 최초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역사적인 사건이 일어났으며 당시 미국 사회는 심각한 인종 차별이 존재했지만 로빈슨의 성공적인 활약으로 인해 스포츠가 사회적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 MLB의 글로벌 확장 (1990년대~현재)
1990년대 이후 MLB는 미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팬층을 확대하기 시작했고 일본, 한국, 대만 등의 아시아 선수들이 MLB에서 활약하면서 아시아 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중남미 국가들의 선수들도 다수 MLB에 진출하면서 국제 리그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MLB에서 활약을 하고 있으며 월드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로 자리잡았습니다.
현대 MLB의 리그 구조 및 팀 구성
현재 MLB는 3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로 나뉘어 운영되고 각 리그는 3개 지구(동부, 중부, 서부)로 세분화되어 있어 정규 시즌 및 포스트시즌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 리그 및 지구 구성
* 아메리칸 리그(AL) – 15개 팀
- 동부 지구: 뉴욕 양키스, 보스턴 레드삭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탬파베이 레이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 중부 지구: 시카고 화이트삭스,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캔자스시티 로열스, 미네소타 트윈스
- 서부 지구: 휴스턴 애스트로스, 시애틀 매리너스, 텍사스 레인저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LA 에인절스
* 내셔널 리그(NL) – 15개 팀
- 동부 지구: 뉴욕 메츠,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마이애미 말린스, 워싱턴 내셔널스
- 중부 지구: 시카고 컵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밀워키 브루어스,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신시내티 레즈
- 서부 지구: LA 다저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콜로라도 로키스
2. 정규 시즌 및 포스트시즌 진행 방식
MLB의 정규 시즌은 162경기로 이루어지고 각 팀은 같은 지구 팀들과 더 많은 경기를 치루도록 일정이 짜여 있으며 정규 시즌이 끝나면 각 리그에서 지구 1위팀+와일드 카드 진출 팀 들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합니다.
* 포스트시즌 과정
1. 와일드카드 시리즈: 각 리그에서 와일드 카드 3팀과 지구 우승팀 중 한 팀이 경기를 붙어 디비전 시리즈 진출팀을 선별
2. 디비전 시리즈: 5전 3선승제 경기로 진행
3. 리그 챔피언십: 7전 4승제로 승리한 팀이 월드 시리즈에 진출
4. 월드 시리즈: AL챔피언과 NL챔피언이 맞붙어 7전 4승제로 최종 우승팀을 가림
MLB에서 주목해야 할 요소들
주요 선수 및 2024시즌 기대주
MLB에는 실력과 스타성을 갖추고 있는 선수들이 많지만 특히 특정 시즌에 뛰어난 경기력으로 팀의 성적을 좌우하고 개인 기록에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는 주목해야할 선수들이 많습니다.
1. 슈퍼스타 선수들: 리그를 대표하는 얼굴
- 오타니 쇼헤이 (Shohei Ohtani, LA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는 현대 야구에서 가장 혁신적인 선수 중 하나로 투수와 타자를 겸업하는 이도류 선수이며 2021년과 2023년 아메리칸 리그 MVP를 수상하면서 야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입니다. 2024시즌 부터는 LA다저스에서 뛰게 되었으며 타자로만 출전한 예정이기 때문에 강력한 홈란 파워와 정교한 타격 능력이 다저스의 공격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애런 저지 (Aaron Judge, 뉴욕 양키스)
뉴욕 양키스의 칸판 스타인 애런 저지는 2022년 한 시즌 최다 홈런(62개)을 기록하면서 AL MVP를 차지한 강타자이며 2M에 가까운 큰신장을 활용한 파워풀한 스윙과 함께 외야 수비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입니다. 2024시즌에는 부상 없이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며 다시 한번 홈런왕 자리를 노릴 것으로 보입니다.
- 후안 소토 (Juan Soto, 뉴욕 양키스)
후안 소토는 타석에서 선구안과 출루 능력이 뛰어난 타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2024시즌을 앞두고 센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유용 양키스로 이적해 더욱 주목받고 있고 강력한 타선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 만큼 그의 활약이 양키스의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2. 2024시즌 기대되는 젊은 스타들
- 코리 시거 (Corey Seager, 텍사스 레인저스)
2023년 월드시리즈 MVP를 차지하며 텍사스 레인저스를 우승으로 이끈 코리 시거는 2024 시즌에서도 강력한 타격 능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선수입니다.
- 엘리 데라크루즈 (Elly De La Cruz, 신시내티 레즈)
2023년 데뷔를 하자마자 뛰어난 신체 능력과 빠른 발로 화제를 모은 데라크루즈는 2024년 풀타임 시즌을 맞이하며 그의 폭발적인 주루 플레이와 강한 어깨가 신시내티의 핵심 전력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 고타이 사가세 (Kodai Senga, 뉴욕 메츠)
일본 프로야구 출신인 센가는 2023년 MLB 데뷔 시즌에 강력한 슬라이더와 포크볼을 앞세워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으며 2024년 메츠의 에이스 역할을 맡으며 더욱 발전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3. 한국 선수들의 활약
- 김하성 (Ha-seong Kim,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김하성은 2023년 내셔널리그 유격수 부문 골드글러브 수상을 하며 수비력을 인정받은 선수로 2024년 공격력에서 한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는 선수입니다.
- 최지만 (Ji-man Choi, FA)
최지만은 현재 FA(자유계약) 신분이지만 건강을 되찾고 좋은 팀과 계약을 한다면 다시 한번 빅리그에서 활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배지환 (Ji-hwan Bae,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빠른 발과 유틸리티 능력을 갖고 있는 배지환은 피츠버그에서 꾸준한 출전 기회를 얻고 있으며 2024년 더욱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보여지는 선수입니다.
경기 규칙과 최근 변화된 룰
1. 피치 클락(Pitch Clock) 도입 – 경기 템포 조절
2023년에 도입된 피치 클락은 투수와 타자의 준비시간을 단축하여 경기 시간을 줄이고 템포를 빠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규칙으로 투수는 15초 안에 투구해야 하며 타자는 8초 안에 타석에 들어가 투구를 준비해야 합니다. 해당 규정을 도입한 이후 MLB의 경기 평균 시간이 약30분 가량 단축되었으며 보다 빠르고 역동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수비 시프트 제한 – 타자 친화적인 환경 조성
과거에는 강타자들을 상대할 때 극단적인 수비 시프트를 사용했지만 이는 타격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2023년부터 모든 내야수는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양쪽에 2명을 배치하도록 하고 내야 잔디 위에 서있을 수 없도록 변경되어 좌타자들에게 특히 유리하게 작용하게 되었고 타격 성적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3. 베이스 크기 확대 – 도루 증가 유도
2023년부터 베이스의 크기가 기존 15인치에서 18인치로 확대되어 선수들의 부상 위험을 줄이고 도루 시도가 증가하게 되었고 실제로 2023 시즌 경기에서 도루 시도 및 성공률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더욱 공격적인 경기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4. 자동 볼·스트라이크 판정(ABS) 시범 운영
MLB는 스트라이크존 판정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자동 볼·스트라이크 판정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아직 메이저리그에 정식적으로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마이너리그 경기에서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향후 정식 도입이 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0